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어성초 이름의 뜻, 효능, 활용법, 다이어트 래시피

by 아임파인땡쓰 2023. 12. 7.
반응형

1. 어성초 이름의 뜻

'물고기 비린내 풀'이란 뜻입니다. 잎을 비비면 나는 냄새가 꼭 물고기 비린내 같다고 '어성초'란 이름이 붙었다고합니다. 중국의 진나라에서는 어성초를 '저자'라고 칭하였는데, 이는 젓갈과 비슷한 냄새가 난다는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한편, 젓갈 냄새와는 다르게 아름다운 모습을 지닌 어성초 꽃말은 '기다림'입니다동남아 및 중국 등 일부 지역에서는 줄기 및 이파리를 채소로 취급하고 있습니다우리나라는 거제도, 안면도 등 섬 지역에서 자라난다고 합니다. 어성초의 꽃은 5월에서 6월 사이에 자라나며 식물은 민간요법, 한방요법 등에 씁니다.

 

어성초란 한자 이름이 붙을 정도로 냄새가 상당히 안 좋습니다. 그래서 주로 건강용 녹즙으로 마신다. 냄새 때문에 섭취하기가 힘든 사람은 레몬즙이나 매실 원액을 혼합하여 먹기도합니다. 또 잎을 말려서 사용하기도합니다히로시마 원자폭팔 이후 가장 먼저 살아난 식물이라는 이야기가 있을만큼 생명력이 강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 서리를 맞으면 바로 죽어버린다고 합니다. 그래서 겨울에는 뿌리를 갈아 먹기도 하는데, 뿌리 냄새는 3~4년이 지나도 안 익숙해질 정도로 지독합니다.

 

2. 효능

항염효과가 있다고 널리 알려져있고 특히 여드름을 비롯한 피부 전반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서 여성들에게 인기가 많이 있습니다. 제품으로는 비누, , 화장품 등 다양한 제품이 있다. 특히 어성초 추출물로 만든 화장품은 피부 진정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많이 사용중입니다한의학에서의 주된 용도는 피부나 비뇨기, 호흡기 등의 염증질환에 사용하는 소염제라고 보면 됩니다. 실제로 항균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어성초보다 생명력이 훨씬 질기고 약효가 강한 쇠비름을 어성초 대용으로 쓰기도 한다고 합니다민간요법으로 사용할 때는 부스럼이나 화농, 치질이 있는 경우에 어성초를 사용하며, 한방의 경우에는 식물체를 임질과 장염, 요로감염증과 호흡기계 질환의 개선을 위하여 사용합니다어성초는 혈액순환에 좋기 때문에 순환이 잘 안되는 사람들은 어성초를 차로써 달여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혹은 어성초 잎을 따서 끓인 물을 목욕물과 함께 섞어 목욕을 즐길 경우에도 혈액순환이 잘 되게 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이전에 비해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인하여 아토피 피부염으로 고생하는 아이들과 어른들이 많습니다어성초는 살균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아토피에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어성초의 효능 덕분에 어성초 샴푸로 가공되어 이용하고 있으며 탈모어성초 스프레이도 출시되고 있습니다어성초 효능은 해열, 배농작용을 하기 때문에 기침을 하거나 피고름을 토할 때 이용할 수 있으며 소변을 잘 못 볼때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활용법

TV조선의 프로그램 <살림 9단의 만물상>에서는 어성초 효능을 얻기 위해 어성초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소개했습니다. 먼저 말린 건초를 적당량 물에 넣고, 뚜껑을 열고 끓여줍니다. 건초가 끓어서 위로 올라오면 불을 끈 다음 물을 식혀줍니다. 이 때 물과 함께 위로 끓어오른 어성초가 밑으로 다시 가라앉으면 어성초 물이 완성됩니다이 물에 옥수수와 보리, 둥굴레 등을 넣고 끓여주면 고소한 맛이 커지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이 음용하기에도 좋은 상태가 됩니다어성초 물을 식혀서 아이들에게 먹으면 아토피에 도움이 됩니다. 혹은 분쇄한 어성초를 여과지 봉투에 담아주고 여과지의 끝 부분을 밀봉하면 어성초 목욕을 할 수 있는 입욕제가 탄생합니다.

 

4. 다이어트 래시피

또한 해독 다이어트의 래시피로 엄지의 제왕 죽은피 살리는 10일 해독법 주제로 소개된 방송에 재료를 알아보면 바나나, 요플레, 어성초즙, 딸기, 케일를 믹서에 30초 정도 갈아서 마시는 아주 간단한 방법으로 콜레스테롤과 혈압의 수치를 놀랍게 낮춰준 것을 볼 수 있다주변에 구하기 쉬운 식재료를 이용해서 콜레스테롤의 수치를 낮춘다면 이보다 더 좋은 게 어디있나 싶습니다. 중년의 나이에 고민되는 혈관고민, 그리고 살과의 전쟁에서 하루빨리 벗어나기위해 우리 모두 실천해볼 방법이라고 생각됩니다.

반응형